코로나19 주제 보고서 어떤 도움이 될까요?
1. 교과목 목차에 맞추어 코로나19 주제 보고서를 쓰면 교과목 목차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교과서 저자, 교과목 선생님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고등학교 1학년은 진로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탐구 활동. 2학년 3학년은 학과 적합성을 깊이 있게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것을 통해 창체활동(자율,동아리,봉사,진로)의 생활기록부의 방형성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3. 학년별 이러한 활동은 학생에게 하나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줍니다. 변화가 있다면 변화를 준 시나리오, 갈등이 있었다면 갈등 원인과 해결한 시나리오. 이 세상에서 나 밖에 없는 3년 동안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줍니다.

4. 생활기록부 자소서는 시대를 반영합니다. 교과서에 나와 있는 것을 우리 일상에 적용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수행평가 이기 때문입니다.

5. 이제 2020년 활동의 방향성을 작성해 보세요. 그리고 부모님 선생님과 공유하세요.

2016년 메르스 사태를 통한 학교와 은평 보건소의 핫라인을 만들고 학교의 매뉴얼을 만들어 중학교, 초등학교, 유치원과 함께 공유한 것은 우리학교만 할 수 있는 것 이었습니다. 우리는 서부학군 고등학교입니다. 뻔하고 너무 진부한 내용 보다, 서부학군 우리학교 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기초가 되는 것입니다.
